인프라/데이터베이스
(3)
-
인프라/데이터베이스2024.04.25
MySQL 서버에서 외부 접속 허용하는 설정 (bind-address)
방화벽 설정도 다 하고 포트도 다 열어 뒀는데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MySQL에 접속하지 못한다면 보통 bind-address를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설정 방법우분투 기준으로 /etc/mysql# cd mysql.conf.d/mysqld.cnf 파일을 열어서 내용을 수정한 뒤 재실행 해 주면 된다. mysqld.cnf에 수정할 라인은bind-address = 127.0.0.1mysqlx-bind-address = 127.0.0.1이 부분이다. 127.0.0.1 을 모두 0.0.0.0으로 변경한다. 이후systemctl restart mysql으로 MySQL을 재시작한다. (Sudo 로 실행하자!)2 -
인프라/데이터베이스2022.12.29
mysql 이벤트 스케쥴러 사용 방법
#정보를 입력할 테이블 CREATE TABLE event_test ( datetime datetime ) ENGINE = INNODB; #현재 시각을 입력하는 프로시저 (1) DELIMITER $$ CREATE PROCEDURE time_now() BEGIN INSERT INTO event_test(datetime) SELECT now(); END $$ DELIMITER ; #현재 시각을 입력하는 이벤트 스케쥴러 (1) CREATE EVENT event1 ON SCHEDULE EVERY 1 minute DO CALL time_now();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는 프로시저 (2) DELIMITER $$ CREATE PROCEDURE time_del() BEGIN DELETE from event_test; ..0 -
인프라/데이터베이스2022.12.10
깃 revert, reset
나는 항상 알고 싶었다. 바로 이런 그럼을 이 그림이 어떤 그림이냐 하면 master에서 2번커밋에서 sub브랜치 생성하고 3번커밋을 진행했는데 3번커밋이 잘못됐다는 것을 깨닫고 sub브랜치에서 4번 커밋을 하고 그 커밋을 master,가 merge하는 5번커밋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냐라는 질문이다. 이것은 로컬에서 진행하냐 원격에서 진행하냐에 따라 다르다 원격이 훨씬 난이도가 높다 로컬에서 진행한다면 명령어를 하나만 알면 된다. 바로 reset --hard이다. 빈 폴더를 만들고 git init 을 명령해보자 이후 내용으로 1을 저장한 txt파일을 만들고 저장한뒤 git add . git commit -m 1 을 하여 첫 번째 커밋까지 진행하자 이제 2번커밋까지 진행하자 커밋메세지와 txt파일의 내용은..0
'인프라/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
'인프라/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