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32)
-
프로젝트/사진(CRUD)2022.12.18
Vue-cli, Spring-boot를 사용하여 사진 전송 및 불러오기(1) - 개발 환경 구축(프론트)
목차 : https://okane-on-cliff.tistory.com/246 프론트의 개발환경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구축하였다. 1. 프로젝트 생성 2. 환경변수를 담을 파일 생성 3. js를 담을 폴더 생성 1.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는 메뉴얼로 생성하였고 vue버전은 2, router 와 vuex는 사용하지 않았다. 이후 터미널에서 npm i, npm i axios를 설치한다. 2. 환경변수를 담을 파일 생성 .env.local 이라는 파일을 만들어서 VUE_APP_URL=http://localhost:9997/picturePractice 를 저장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process.env.VUE_APP_URL로 이 변수에 접근 할 수 있다. 3. js를 담을 폴더 생성 js는 꼭 src안에 폴더..0 -
프로젝트/사진(CRUD)2022.12.18
Vue-cli, Spring-boot를 사용하여 사진 전송 및 불러오기(목차)
0. 목차 (1) 개발 환경 구축(프론트) : https://okane-on-cliff.tistory.com/247 (2) 개발 환경 구축(백) : https://okane-on-cliff.tistory.com/248 (3) 코드 작성 (프론트) : https://okane-on-cliff.tistory.com/249 (4) 코드 작성 (백) : https://okane-on-cliff.tistory.com/250 (5) 배포 : https://okane-on-cliff.tistory.com/251 1. 깃 (프론트) : https://github.com/okanekudasai/picturePractice_front.git (백) : https://github.com/okanekudasai/picture..0 -
프로젝트/stomp2022.12.16
vue-cli, spring-boot, stomp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채팅사이트 만들기(4) - 배포
목차 : https://okane-on-cliff.tistory.com/239 그냥 jar파일을 만든 뒤에 배포를 하는게 낫다. goal에 package를 쓰면 된다. 그럼 target 폴더에 jar파일이 만들어 지는데 그걸 깃으로 ec2 인스턴스에 옮겨 담고 실행해주면 된다. 만약 mvn package작업을 인스턴스에서 하게되면 메모리 부족문제로 컴퓨터가 뻗는거 같다. 앞으론 이렇게 해야겠다. 배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ttps://okane-on-cliff.tistory.com/233 이 내용을 참고하면 될거 같다.0 -
프로젝트/stomp2022.12.16
vue-cli, spring-boot, stomp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채팅사이트 만들기(3) - 백 코드
목차 : https://okane-on-cliff.tistory.com/239 MainController.java package chating;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UUID;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messaging.handler.annotation.DestinationVariable; import org.springframework.messaging.handler.annotation.Message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0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